Sam Story

2025-05-08 node.js 백엔드 기초 본문

공부기록

2025-05-08 node.js 백엔드 기초

Sam H 2025. 5. 8. 09:34

오늘은 node.js 백엔드 기초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.

 

express framework를 이용해서 간단한 예제를 진행해보려고 한다.

 

먼저 npm(node package manager) 사이트에 들어가서 express를 검색해보면

 

module의 소개와 간단한 예제코드가 굉장히 잘 작성되어 있어서

쉽게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.

 

먼저 터미널을 통해서 express를 설치해보도록 하자.

npm i express

 

사이트에 있는 install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게 되면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.

 

설치 완료 메시지와 함께 express module을 사용할 준비가 완료되었다.

 

module 페이지에 있는 예제 코드이다.

이 코드를 그대로 작동시켜보자.

import express from 'express'

const app = express()

app.get('/', (req, res) => {
  res.send('Hello World')
})

app.listen(3000)

 

 

필자는 VS Code를 이용해 코드를 작성하였고

터미널을 이용해서 해당 파일을 실행시켰다.

 

javascript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서 node 파일명.js 를 터미널에 입력하게 되면

 

 

콘솔에 현재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localhost:3000 으로 접속해보자.

localhost:3000

 

접속하게 되면 Hello World라는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나오는걸 볼 수 있다.

 

그렇다면 예제 코드는 어떤걸 의미하는지 다시한번 살펴보자.

import express from 'express'

const app = express() // express 객체 생성

// ('/'=> 라우터) 처음 진입했을 때 이 콜백함수를 실행함. 
app.get('/', (req, res) => { // req => request , res => response
  res.send('Hello World') // response에서 Hello World라는 메시지를 send 한다.
})

app.listen(3000)

 

먼저 express 객체인 app 을 만들어주고

 

서버에 접속했을 때 콜백함수를 작성해준다.

이때 app.get() 이라는 함수를 작성하지만 get방식이 아닌 post , delete등 여러 함수 호출이 가능하다.

 

 

기본으로 제공해주는 이 예제에서 get() 의 속성을 이용해서

url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냈을때에 대한 처리를 한번 적용해보자.

app.get('/user',(req,res) => {

   const q = req.query

    res.send({'userId':q.id})
})

 

간단한 '/user' 라우터를 작성하고 데이터를 받아서 userId를

JSON 형식으로 표시해주는 간단한 예제이다.

 

위 코드를 작성 후 url에 데이터를 담아서 실행시키게 되면

 

실행결과

 

 

JSON 형식으로 결과값이 출력되는걸 볼 수 있다.

'공부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xios  (0) 2025.05.27
2024-12-18 조건문을 좀 더 간결하게 작성  (1) 2024.12.18
2024-11-10 LottieAnimationView  (6) 2024.11.10
2024-10-27 앱 다크모드 특정색 변경  (1) 2024.10.27
2024-10-22 버튼 배경 그라데이션 처리  (2) 2024.10.22